OFP의 개념과 정의
Operational Flight Program(OFP)은 무인항공기(UAV, Unmanned Aerial Vehicle)의 운영에 필수적인 핵심 소프트웨어로, 무인항공기의 비행, 임무 수행, 센서 및 무기 시스템의 제어를 담당합니다 [1]. OFP는 무인항공기의 두뇌 역할을 하며,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을 보장합니다 [1]. 비행 제어 OFP는 무인항공기의 비행 경로를 계획하고 제어하며, GPS 및 인조지능과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비행을 유지합니다 [1]. 항공기에 탑재되어 비행 관리 및 임무 관리를 수행하는 비행운용 프로그램으로서 항공기에 탑재된 다양한 시스템을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[2].
OFP의 주요 기능과 역할
OFP는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무인항공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,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여 대비할 수 있습니다 [1]. 또한 지상 제어장치나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여 실시간으로 비행 계획을 조정하고 작전 명령을 수신합니다 [1]. OFP는 무인항공기가 수행해야 할 임무를 프로그래밍하고 실행하며, 정찰, 탐색 및 파괴 임무와 같은 다양한 작전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[1]. 무인항공기의 센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항공기에 탑재되는 다양한 센서를 관리하고,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합니다 [1].
OFP의 중요성
OFP는 무인항공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, 필요한 경우 보수 및 수리를 지원합니다 [1]. 이는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비행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[1]. OFP는 무인항공기 운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, 무인항공기를 자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[1]. 이는 적은 인간 개입으로도 복잡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[1]. OFP의 정확성은 작전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며, 정교한 비행 경로 및 무기 시스템 제어는 무인항공기의 작전 성과를 향상시킵니다 [1].
OFP 설계를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
자율 비행 드론의 OFP 설계를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[4]. 드론의 자율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전장 환경의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어야 하며, 이를 위해서는 인식, 지식, 추론, 기억 등의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가 요구됩니다 [4]. 자율 비행 드론은 센서를 통해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인식하고 상황 정보를 통해 고수준의 상황을 추론하고 추론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과 자율 행동을 수행합니다 [4]. 군사용 드론의 경우 운용 교범과 임무에 대한 사전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전문가 시스템(expert system)이라고 불리는 지식 기반 에이전트(knowledge-based agent)가 적합합니다 [4].
드론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
자율 비행 드론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[4]. 상황, 임무 목적, 컴퓨팅 파워에 따라 고수준 모듈을 재구성하거나 기능을 확장한 모듈의 추가가 용이한 특징을 제공해야 합니다 [4]. 이러한 품질 속성을 만족하기 위해 단일 에이전트 구조보다 확장성이 뛰어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[4].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은 에이전트 간 상호 작용을 위한 지식 표현과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필요합니다 [4]. AMAD(autonomous mission agents for drones) 아키텍처는 지능형 드론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서 다양한 드론과 임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[4].
지능형 드론을 위한 지식의 구성
지능형 드론에서 저장, 활용, 생산, 유통하는 지식 정보는 작업 정보(task information)와 지식 정보(knowledge information)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[4]. 작업 정보는 자율행동을 위한 목표(goal)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(plan)으로 구성됩니다 [4]. 지식 정보는 임무나 드론 플랫폼에 대한 사전 지식입니다 [4]. 환경과 센서에 대한 지식은 지능형 소프트웨어 외부와 연동에 대한 지식으로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수준 상황(low-level context)으로 변환하여 GL(generalized list)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문장의 형태로 표현합니다 [4]. 임무 지식(mission knowledge)은 임무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작전 교범의 지식을 포함합니다 [4].
자율 비행 드론 OFP 구현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
자율 비행 드론의 OFP 설계/구현 업무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됩니다 [3]. 주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는 C/C++, MATLAB, Python 등이 있으며, 이들 언어는 각각 특화된 영역에서 활용됩니다 [3]. C/C++는 OFP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/구현/시험에 널리 사용되며, 저수준 시스템 프로그래밍과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적합합니다 [3]. MATLAB은 비행체 시뮬레이션 환경 구성과 비행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주로 활용되며,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/구현/시험에도 사용됩니다 [3]. Python은 데이터 분석, 머신러닝 등에 활용되며, 신속한 프로토타이핑과 알고리즘 테스트에 유용합니다 [3].
OFP 개발을 위한 도구 및 환경
OFP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도구와 환경이 필요합니다 [3]. PX4, Ardupilot과 같은 오픈소스 플랫폼은 드론 개발에 많이 활용되며, 관련 경험이 있는 개발자가 우대됩니다 [3]. ROS(Robot Operating System)는 드론 소프트웨어 개발에 널리 사용되는 미들웨어로, 다양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연동하고 제어하는데 유용합니다 [3]. 드론의 비행 제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IMU, INS, GPS, Gyro, Accelerometer, Magnetometer, Lidar 등 다양한 센서에 대한 이해와 연구개발 경험이 필요합니다 [3]. 또한 Navigation Filter 설계/구현/튜닝 경험, Linear/Nonlinear/Optimal/Robust Controller 설계/해석/구현/튜닝 경험 등이 OFP 개발에 중요한 역량으로 요구됩니다 [3].
OFP 단계별 개발 프로세스
무인 항공기 시스템 설계는 여러 단계로 진행됩니다 [38]. 첫 단계는 요구사항 분석으로, 드론의 목적과 기능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[38]. 다음으로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단계에서는 드론의 전체적인 구조와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설계합니다 [38].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계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하드웨어 선정과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합니다 [38].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단계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합니다 [38]. 인증 및 규정 준수 단계에서는 관련 법규와 표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, 마지막으로 운용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성능 모니터링과 개선 작업이 진행됩니다 [38].
OFP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
OFP의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는 OFP의 기능과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[14]. OFP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는 시스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듈화된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[14]. 비행 제어 프로그램 연구개발에서는 다양한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해야 하며, 경로 생성 알고리즘, 제어 알고리즘, 센서 데이터 획득 및 퓨전 알고리즘, 항법해 추정 알고리즘 등이 포함됩니다 [14]. 또한 비행체 시뮬레이션 환경 구성과 비행 동역학 및 제어 모듈도 설계해야 합니다 [14]. OFP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는 시스템 전체의 성능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세심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[14].
멀티 에이전트 기반의 OFP 설계
지능형 드론을 위한 OFP 설계에서는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위 에이전트의 기본 구조가 중요합니다 [4]. 에이전트는 저수준 입출력을 통해 외부의 다른 에이전트나 외부 개체와 통신합니다 [4]. 에이전트의 저수준 입출력 기능은 소켓, 제로메시지큐(ZMQ) 등 다양한 수단을 지원하는 메시지 어댑터에서 제공하며 범용적인 JSON 포맷을 송수신합니다 [4]. AMAD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지능적 에이전트 요소로는 지식 기반을 담당하는 KS(knowledge store), 상황 추론 기능을 담당하는 CR(context reasoner), 드론의 자율 임무 수행을 위한 의사결정 기능을 담당하는 ATC(autonomous task coordinator) 등이 있습니다 [4].
OFP의 비행 제어 알고리즘
드론의 자율 비행 제어 알고리즘은 OFP의 핵심 요소로, Path Planning, Guidance, Navigation, Control 알고리즘 연구개발이 중요합니다 [3]. 비행체/주변환경 데이터 기반의 무인기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통해 드론은 주어진 환경에서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고 따라갈 수 있습니다 [3]. 센서 데이터 획득 및 퓨전 알고리즘은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보다 정확한 상황 인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[3]. 항법해 추정 알고리즘은 드론의 위치, 자세, 속도 등을 정확하게 추정하여 안전한 비행을 보장합니다 [3]. 비행체 시뮬레이션 환경 구성과 비행 동역학 및 제어는 알고리즘 개발과 검증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[3].
센서 데이터 처리 및 활용
자율 비행 드론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합니다 [3]. IMU, INS, GPS, Gyro, Accelerometer, Magnetometer, Lidar 등의 센서에 대한 이해와 연구개발 경험이 필요합니다 [3].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Navigation Filter를 통해 처리되어 드론의 위치, 자세, 속도 등을 정확하게 추정하게 됩니다 [3]. Linear/Nonlinear/Optimal/Robust Controller 설계/해석/구현/튜닝을 통해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드론의 안정적인 제어가 이루어집니다 [3]. 센서 데이터 처리는 자율 비행 드론의 안전성과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, 다양한 알고리즘과 필터링 기법이 적용됩니다 [3].
OFP 모듈 설계 및 구현
OFP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와 구현은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[14]. C/C++/MATLAB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/구현/시험 과정을 통해 OFP의 각 기능 모듈을 개발합니다 [14]. OFP 모듈 설계에서는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흐름을 명확하게 정의하고, 각 모듈의 기능과 역할을 명시해야 합니다 [14]. 모듈 구현 단계에서는 정의된 설계에 따라 코드를 작성하고, 단위 테스트를 통해 각 모듈의 기능을 검증합니다 [14]. 시험 단계에서는 통합 테스트를 통해 모듈 간의 상호작용과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합니다 [14]. 연구개발 결과의 검증을 위한 비행 시험 및 성능 평가를 통해 OFP의 실제 환경에서의 성능을 확인합니다 [14].
OFP 테스트 및 검증 방법
OFP의 설계와 구현 후에는 철저한 테스트와 검증 과정이 필요합니다 [37]. OFP 테스트는 여러 단계로 진행되며, 각 단계마다 특정한 목표와 방법이 있습니다 [37]. 먼저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및 검토를 수행하고, 기능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시험조건(Test Case)을 정의합니다 [36]. MILS(Model In the Loop Simulation), SILS(Software In the Loop Simulation) 등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OFP의 동작을 검증합니다 [17]. HILS(Hardware-In-the-Loop Simulator)를 구성하여 실제 하드웨어와의 통합 상태에서 OFP의 성능을 시험합니다 [17]. 비행 시험을 통해 실제 환경에서 OFP의 동작을 최종 검증합니다 [17].
OFP의 게인 조정 및 최적화
OFP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어법칙의 게인 조정이 필요합니다 [17]. 최적의 게인값을 구하기 위해 먼저 제어법칙의 해석적인 분석(Analysis)을 통하여 게인값을 구하고,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합니다 [17]. 비행제어컴퓨터 부팅 시 제1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OFP의 게인값에 제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게인 바이어스 값이 바이어스 되는 방식으로 게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[17]. 게인값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, 제2 메모리에 저장된 게인 바이어스 값을 조정하여 OFP 실행 시 게인을 변경하여 사용합니다 [17]. 이러한 방식으로 OFP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[17].
멀티 코어 기반의 OFP 성능 향상 기법
현대의 OFP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[43]. 비행 운용 프로그램(OFP)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멀티코어 기법을 적용한 임무 컴퓨터(Mission Computer, MC)와 OFP의 설계 방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[43]. 멀티코어 기반의 OFP는 병렬 처리를 통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[43]. 이는 특히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비행 제어 알고리즘, 센서 데이터 처리, 영상 처리 등에서 큰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[43].
OFP의 안전성 및 신뢰성 보장
자율 비행 드론의 OFP 설계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[11]. 항공기는 특별히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항공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도 그 개발 과정부터 법으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[12]. 이러한 규제 환경은 대단히 엄격하기로 정평이 나 있어서, 비행 중에 발생한 사고는 대부분이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오류가 아니라 사용상의 오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[12]. 항공기 소프트웨어를 위한 법적 규제는 대부분이 미국, 유럽연합, 러시아 등의 국가가 시행하는 규제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[12].
OFP 통합 시험 및 검증 환경
OFP의 설계 및 구현 후에는 철저한 시험과 검증이 필요합니다 [39]. 비행 조종 컴퓨터(FLCC) 운용 프로그램(OFP)의 검증 및 성능 시험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(IMS)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(PI) 등의 도구가 사용됩니다 [39]. 실시간 테스트 환경을 지원하며, 사실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, 완전한 항공전자 하드웨어 테스트, 고급 기술의 시스템 장애 적응성을 활용하여 OFP를 테스트하는 환경이 구축됩니다 [40]. 이러한 통합 시험 환경은 OFP의 성능과 안정성을 검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[40].
OFP의 실제 적용 사례와 향후 발전 방향
OFP는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로 적용되고 있으며, 그 활용 범위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습니다 [1]. 현대 무인 항공기의 핵심적인 소프트웨어로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[1]. OFP의 지속적인 발전은 무인항공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운영 능력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[1]. KF-X의 비행운영 프로그램(OFP)을 검증하고 OFP와 연계하여 나타나는 조종성을 평가하기 위한 HQS(Handling Qualities Simulator)와 같은 시뮬레이터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[42].
결론
자율 비행 드론의 Operational Flight Program(OFP)은 현대 무인항공기 기술의 중추적인 요소로, 비행 관리부터 임무 수행, 센서 제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[1]. OFP의 설계와 구현은 복잡한 프로세스로, 요구사항 분석부터 시작하여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,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, 테스트 및 검증 등 여러 단계를 거칩니다 [38]. 이 과정에서 C/C++, MATLAB, Python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PX4, Ardupilot, ROS 등의 개발 도구가 활용됩니다 [3]. OFP의 안전성과 신뢰성은 매우 중요하며, 이를 위해 엄격한 테스트와 검증 과정이 필요합니다 [11]. 향후 OFP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무인항공기의 자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임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[1].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참고문헌
[1] OFP, OPERATIONAL FLIGHT PLAN, ETP, EDTO :: 항공사 비행 ... (2024). https://scheryx.tistory.com/316
[2] OFP Testing / ATE - 리얼타임웨이브. (2016). https://www.realtimewave.co.kr/ofptesting-ate
[3] [PDF] AC 120-82 - Flight Operational Quality Assurance. (2004). https://www.faa.gov/documentLibrary/media/Advisory_Circular/AC_120-82.pdf
[4] [PDF] Development of Operational Flight Program for Smart UAV - SciSpace. (n.d.). https://scispace.com/pdf/development-of-operational-flight-program-for-smart-uav-3u7mn0o8yr.pdf
[5] [PDF] HELISCOPE Project 의 비행 운용 프로그램을 위한 검증 절차. (n.d.). http://dslab.konkuk.ac.kr/Members/jhlee/publications/KCSE2011_HELISCOPE_OFP.pdf
[6] [PDF] Maintaining an Operational Flight Program (OFP) - DTIC. (n.d.). https://apps.dtic.mil/sti/tr/pdf/ADA249405.pdf
[7] [PDF] 드론 안전성 관련 법 제도 및 표준 수립을 위한 이슈와 요구 분석. (n.d.). https://koreascience.kr/article/JAKO202116057064098.pdf
[8] [PDF] 드론 자율비행 기술 동향. (n.d.). https://ettrends.etri.re.kr/ettrends/189/0905189001/001-011_%EA%B9%80%EC%88%98%EC%84%B1.pdf
[9] [PDF] 멀티 코어 기반의 OFP 성능 향상 기법 연구 - Korea Science. (n.d.). https://www.koreascience.or.kr/article/CFKO201230533388117.pdf
[10] [PDF] 비행제어시스템 설계 및 검증 절차. (n.d.). https://www.koreascience.kr/article/JAKO200834347672679.pdf
[11] [PDF]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KF-X가 - 한국항공우주산업. (2021). https://www.koreaaero.com/KO/_UploadFiles/Cyclb/PEJ9mcaRtc9OxRWr4.pdf
[12] [PDF] 스마트무인기 비행운용프로그램 개발 - Korea Science. (n.d.). https://koreascience.kr/article/JAKO201330360976153.pdf
[13] [PDF] (요구사항) 드론 자율점검 및 AI영상분석을 통한 자동 이상감지. (n.d.). https://grant-documents.thevc.kr/220311_%5B%EB%B6%99%EC%9E%843%5D%EC%9B%8C%ED%84%B0%EB%9D%BC%EC%9A%B4%EB%93%9C+with+%EB%93%9C%EB%A6%BC%EB%B2%A4%EC%B2%98%EC%8A%A4%ED%83%80+%EA%B3%BC%EC%A0%9C%EC%86%8C%EA%B0%9C%EC%84%9C.pdf
[14] [PDF] 자동 코드생성을 이용한 무인기용 OFP의 검증에 관한 연구. (n.d.). http://www.koreascience.kr/article/JAKO200913060410468.pdf
[15] [논문]Implementation of OFP initialization function in IMDC for FA-50 ... (n.d.). 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JAKO201910537995293
[16] [논문]드론 자율비행 기술 동향. (2024). 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JAKO202153150644135
[17] [논문]멀티 코어 기반의 OFP 성능 향상 기법 연구. (n.d.). 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NPAP10078136
[18] [논문]비행제어시스템 설계 및 검증 절차. (2024). 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JAKO200834347672679
[19] [논문]컴퓨터 비전과 GPS를 이용한 드론 자율 비행 알고리즘. (n.d.). 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JAKO201620853200787
[20] 니어스랩(Nearthlab) · [상시] 항공 및 로보틱스 엔지니어 - 인디스워크. (2024). https://inthiswork.com/archives/99226
[21] [니어스랩]항공 및 로보틱스 엔지니어 - 항공우주공학과. (2022). https://ae.kaist.ac.kr/boards/view/gr_employment/12850/40/
[22] 드론 식별 시스템 설계 기술. (2023). https://itec.etri.re.kr/itec/sub02/sub02_01_1.do?t_id=3320-2023-01479&nowPage=1&nowBlock=0&searchDate1=&searchDate2=&searchCenter=&m_code=&item=&searchKey=b_total&searchWord=
[23] 드론 자율 비행 기술의 소개 : 드론의 기본적인 제어 방법과 자율 운항 ... (2018).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7456311
[24] 드론 자율항법을 위한 영상 및 센서 데이터(SLAM DATA) - AI-Hub. (2021). https://www.aihub.or.kr/aihubdata/data/view.do?currMenu=115&topMenu=100&dataSetSn=647
[25] 드론 전장품의 신뢰성/안전성 시험 평가 국제 표준 규격 분석 - DBpia. (2023).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11660409
[26] 드론 프로그래밍 - MathWorks. (2025). https://kr.mathworks.com/discovery/drone-programming.html
[27] 드론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비행제어장치의 설계 및 구현. (2024). https://www.kci.go.kr/kciportal/ci/sereArticleSearch/ciSereArtiView.kci?sereArticleSearchBean.artiId=ART002686933
[28] 무인 항공기 시스템 설계의 핵심 6단계 자세히 살펴보기. (2024). https://everything.yoplle.com/13
[29] 무인 항공기의 Operational Flight Program(OFP) : 하늘을 정복하는 ... (2024). https://everything.yoplle.com/10
[30] 무인기 이중화 비행조종컴퓨터 비행운용프로그램 개발 | DBpia. (2019).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8763090
[31] 비행제어컴퓨터에 탑재되는 비행 운용 프로그램의 제어법칙 게인 조정 ... (2013). https://patents.google.com/patent/KR101450148B1/ko
[32] 비행조종컴퓨터 OFP 검증 장치 개발 - 한국항공우주학회 : 논문 - DBpia. (n.d.).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1110137
[33] 자율비행드론의 안전 이슈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. (2024). https://www.kci.go.kr/kciportal/ci/sereArticleSearch/ciSereArtiView.kci?sereArticleSearchBean.artiId=ART002748465
[34] 지능형 드론의 자율 임무 수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제안. (2022). https://koreascience.or.kr/article/JAKO202226258487904.page?&lang=ko
[35] 차세대 항공 핵심기술로 미래 항공 산업 주도 - 한국항공우주연구원. (2022). https://www.kari.re.kr/kor/sub03_01.do
[36] [초점] 드론, 하드웨어에서 자율비행 소프트웨어로 “혁신.” (2022). https://www.g-enews.com/article/Global-Biz/2022/01/20220104140816359e8b8a793f7_1
[38] 항공 및 로보틱스 엔지니어 - 점핏. (2025). https://jumpit.saramin.co.kr/position/41265
[39] 항공기 Built-In Test 설계 구현을 위한 OFP 코드 자동화 생성 Tool 개발. (2018).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7619851
[40] 항공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의 동향 - 테크월드뉴스. (2010). https://www.epnc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5112
[41] 항공기에 탑재되는, 타겟팅 포드 제어를 위한 임무컴퓨터 및 그의 동작 ... (2014). https://patents.google.com/patent/KR101623274B1/ko
[42] 항공전자시스템컴퓨터 탑재소프트웨어 개발 - of DSpace. (n.d.). https://dspace.kci.go.kr/handle/kci/438055
[43] 항전 비행운용프로그램 검증을 위한 단일 PC 기반소프트웨어 시험 ... (2024). https://www.kci.go.kr/kciportal/ci/sereArticleSearch/ciSereArtiView.kci?sereArticleSearchBean.artiId=ART002402188
'자율주행 모빌리티 (Autonomous Mobilit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OS (Robot Operating System) (0) | 2025.04.09 |
---|---|
자율 비행 드론 센서 데이터 획득 및 퓨전 알고리즘 (1) | 2025.04.09 |
비행체/주변환경 데이터 기반 무인기 의사결정 알고리즘 (0) | 2025.04.09 |
Path Planning, Guidance, Navigation, Control 알고리즘 (3) | 2025.04.09 |
Visual SLAM (0) | 2025.03.17 |